top of page
Korean Young Architect Award |젊은건축가상 | 2019

젊은건축가상 공식 웹사이트 | http://www.youngarchitect.kr/ko/architect/view?yr=2019

 

Sujeong Park and HeejunSim of ArchiWorkshop explicitly features a more extensive spectrum of work than any other candidate. The pair were singular in their unrelenting ability to shift from genre to genre, from their conception of macro-scale urban regeneration to land art, installation art, environmental sculpture, and eve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such as mobile structures and furniture. This is, of course, through the execution of a ubiquitous everyday architecture which effectively resolves legal and technical complications and challenges amidst a conflicting reality.Hun KimJury of 2019 Korean Young Architect AwardPrincipal of Studio AsylumThe 2019 Korean Young Architect Award - From Evaluation Review

건축공방의 박수정, 심희준 두 사람은 올해 여타 지원자보다도 현저하게 확장된 직능의 스펙트럼을 드러냈다. 거시적 규모의 도시 재생을 다룬 구상에서부터 랜드 아트, 설치 미술, 환경 조형 작업, 게다가 모바일 구조물, 가구 등 산업 디자인의 영역마자 파고들며 이 넓고 다양한 분야를 거침없이 오가는 모습은 거의 독보적이다. 물론 첨예한 현실 속에서 법적 기술적 매듭과 난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내고 있는 보편적 일상의 건축 행위는 차치하고도 말이다.

김헌
2019 젊은건축가상 심사위원
스튜디오 어싸일럼 대표
2019 젊은건축가상 심사 '총평' 중에서
 

Sujeong Park and Heejun Sim of ArchiWorkshop interpret the Korean term “workshop” (gong-bang ) in two senses: as to construct a defense/ fortress (攻防) or as an artisanal workshop (工房). With each project, the two architects attribute a system of numbers to each project, whether a large-scale architectural project, or a small-scale product design, administering a process of debate and discussion each time to produce a high-level of completion.
Considering that each architect possesses their own capacity for thought, perhaps architecture as a common product is unfeasible, unless it is through collaboration. The architects say that they split the roles in terms of main and sub-responsibility, even for projects worked in partnership. However, the two architects have divided rather than distinguished their roles when describing their work. As the critic, I highly value objects composed through a common decision making process based on a sense of the unique, or the innovative or a common sensibility, rather than the Authorship viewpoint that architecture cannot help but be the unique work of a single architect. It seems that the two architects of ArchiWorkshop have a good deck of cards to pick from, if one were to consider the most critical part of architecture as the process of acquiring a sense of uniqueness. I hope that the two architects, who already produce a mature level of work, gain momentum from being awarded the 2019 Korean Young Architect Award, growing as
an architect group that widens its horizons of thought, experiments anew in society, and continues to work on meaningful projects.

Namho Cho
Soltozibin Architects
Seoul Architectural Policy Committee
From Critique

건축공방의 박수정, 심희준은 아틀리에 건축공방의 공방을 ‘攻防’ 혹은 ‘工房’이라고 해석한다. 두 건축가는 매번 논쟁에 가까운 토론을 거쳐 규모가 큰 건축 작업이든 규모가 작은 소품 디자인든 상관없이 프로젝트마다 하나씩 고유 번호를 부여하며 완성도 높은 결과물로 끌어내고자 한다.
건축가마다 독립된 사유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건축이 협력이 아닌 공동의 산물이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파트너십을 통한 작업일 때도 주 역할과 부 역할이 나누어져야 한다고도 한다. 하지만 두 건축가는 자신들의 작업에 관해 설명할 때 역할을 구분하지 않고 항상 나누어 설명한다. 필자는 건축이 한 건축가의 고유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는 작가주의적 견해보다는 고유함이든 혁신성이든 공동 감각을 바탕으로 한 공통의 의사 결정 과정에 따라 만들어지는 사물의 가치에 거는 기대가 더 크다. 건축에서 중요한 것이 고유성과 함께 보편성을 획득하는 과정이라고 할 때, 건축공방의 두 건축가는 좋은 선택지를 갖고 있는 셈이다. 이미 성숙한 작업을 하고 있는 두 건축가사 '2019 젊은건축가상' 수상을 계기로 사유의 지평이 넓어지길, 사회에서 새로움을 시도하고 의미 있는 작업을 지속하는 건축가 그룹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

조남호
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 대표
서울시 건축정책위원
크리틱 '일상과 사물의 정착' 중에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