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방
Camptong Island and Museum by ArchiWorkshop | 캠프통아일랜드+미술관
Location_Gyunggi-do Cheongpyung
Program_Glamping resort, museum
Area_>10,000.0 m2
Work scope_Design | Glamping design, manufacturing, installation
Status_Completed
Date_2017
Photograph_Jung Jung Ho
When I visited the triangular site in Cheongpyeong Lake, I felt as if I was floating on the lake. It was like standing on a prow. The whole site was composed of gneiss, giving it an image of hard and solid earth. Inspired by the land, we started the master plan for a unique leisure experience. The site is about 2,500 pyeong (approx 8,264.5m2), largely divided into exterior space, art gallery, restaurant, welcome center, and glamping area. Access circulation is divided into public areas, open to everyone; the art gallery, which is semi-public; and glamping zones, used as private accommodation for guests. Boulders, which consist of rocks that settled down there, were reinterpreted as a platform that overlooks the lake, i.e. an open square. The spaces required were realized as places embedded in the rock. It is designed so that the architecture is not exposed, but made in the earth, where the roof of the space is the platform, or the square. Stairs, floors and ramps were made using rocks from the site, so that actions such as walking barefoot and lying on the ground would take place in the outdoor space.
The space is largely divided into 12 sequences, that is, it has various sense of place, and it is planned so that visitors experience it naturally. The sequence is as follows.
1. Birch forest parking area
2. Folding screen rock path
3. Welcome Center
4. Folding screen rock trail
5. Rock amphitheater
6. Small plaza
7. Restaurant
8. Open square
9. Art gallery
10. Cliff glamping
11. Active barge
12. Cheongpyeong Lake waterside trail
The open square was plac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glamping area, overlooking the Cheongpyeong Lake. In addition, it utilizes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the folding screen rock and welcome center to prevent noise pollution from the road, making it a protected space. To think about the light and sound of a place, and to create a unified landscape in which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exist in harmony. The sense of place changes constantly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nature, and such change solidifies the sense of place. We dreamed of a place that is not crude despite being in a commercial program and believe that such a place will lead to more visits and move people’s hearts. This was what we, ArchiWorkshop aimed for.
대지위치_경기도 가평군 청평
프로그램_글램핑 리조트, 뮤지엄, 웰컴센터
면적_>10,000.0 m2
작업범위_설계 | 글램핑 디자인 및 시공
단계_완공
연도_2017
사진_정정호
청평 호수에 위치한 삼각 대지에 방문하였을 때,마치 호수 위에 떠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아마도 뱃머리에 서 있는 것과 같은 기분이었다.대지의 전체가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그로 인해 땅이 가지는 이미지는 단단하고 견고했다.
우리는 독특한 체험이 있는 레저 공간을 위해 땅에서 받은 영감을 가지고 마스터 플랜을 시작하였다.대지의 규모는 약2,500평으로,크게 외부공간,미술관,레스토랑,웰컴센터, 글램핑 공간으로 구분된다.누구나 방문이 가능한 공공영역과 미술관과 같은 반 공공 영역,숙박이 일어나는 개인 영역의 글램핑존으로 구분하여 출입동선이 계획되었다.
돌,그곳에 자리잡은 돌들로 이루어진 바위는 호수를 조망하는 플랫폼 즉,오픈 광장으로 재해석되었다.필요한 공간들은 바위 속에 박힌 장소로 구현되었다.건축이 드러나지 않고,땅의 영역 안에서 만들어지고,공간의 지붕이 플랫폼이 되거나,광장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맨발로 걷고,바닥에 눕는 행위가 외부공간의 곳곳에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계단, 바닥과 경사로는 현장의 바위를 활용하여 만들어졌다.
공간은 크게 12가지의 시퀀스, 즉 다양한 장소성을 보여주며,방문자들이 이를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1. 자작나무 숲주차
2. 병풍바위 사이길
3. 환영센터
4. 병풍바위 오름길
5. 바위 엠피시어터
6. 작은 광장
7. 레스토랑
8. 오픈광장
9. 미술관
10. 절벽 글램핑
11. 액티브 바지선
12. 청평호 물길산책
오픈광장은글램핑들을 광장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하여,청평호수가 조망되는 공간으로 설계를 하였다.또한 병풍 바위와 환영 센터의 건축적 구조를 활용하여 도로에서의 소음을 막아주며 보호된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장소의 빛과 소리를 고민하고,자연적인 요소와 인공적인 요소가 어우러져 하나의 풍경을 만들어내는 것.
그 장소성은 자연의 모습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고,그 변화는 장소성을 더욱 굳건하게 한다.
상업적인 프로그램 속에서 상스럽지 않은 장소를 꿈꾸고,그런 장소가 더 많은 방문과 감동을 만들 것이라는 생각.
그것이 우리의, 건축공방의 고민이었다.